정보통신기사란 응시자격을 갖춘 자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 시행하는 정보통신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한다. 응시자는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을 통과해야 한다.
자격증 소개
(1) 정보통신기사
① 정보통신기사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 시행하는 정보통신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한다.
② 정보통신기사 자격은 다양한 정보통신망을 구성하여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보통신 분야를 선도할 수 있는 전문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되었다.
(2) 주요 업무
① 정보통신기사는 정보통신 관련 공학적 이론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정보통신 시스템의 설계, 구축, 운영 및 유지보수에 관한 직무를 수행한다.
② 정보통신기사는 휴대폰단말기나 PDA 등의 정보통신기기를 설계하고, 반도체나 LCD, LED 등의 관련 기술 개발에 참여하며, 유, 무선통신의 송수신을 위한 정보국의 운영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거나, 정보통신 기술을 응용할 수 있는 분야를 연구하고, 관련 장비를 관리, 유지, 보수하는 업무를 수행한다.
③ 2022년부터 필기시험과목이 개편되어 시행된다. 디지털 전자회로 과목이 폐지되고 정보시스템 운용이 추가되었다. 따라서 무선설비기사, 방송통신기사, 전파전자통신기사 자격 취득자의 디지털전자회로 과목면제는 폐지될 것이다.
시험일정

시험정보
(1) 응시자격 :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있다.
기술자격 소지자 | 관련학과 전공자 | 순수 경력자 |
---|---|---|
∙ 동일(유사)분야 다른 종목 기사 | ∙ 대졸(졸업예정자) | 실무경력 4년 |
※ 관련학과 : 4년제 대학교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정보통신공학, 전자통신공학, 전기정보통신공학, 전자정보통신공학, 정보기술공학 등
※ 동일직무분야 : 경영 · 회계 · 사무 중 생산관리, 기계 중 항공, 전기 · 전자
(2)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
구분 | 시험과목 | 검정방법 |
---|---|---|
필기시험 | ① 정보전송일반 | 객관식 4지선다형, 과목당 20문항(2시간 30분) |
실기시험 | 정보통신 실무 | 필답형(2시간 30분) |
※ 2013년부터 동 종목의 실기시험은 복합형(필답형+작업형)에서 필답형으로 시행
(3) 합격 기준
① 필기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,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
② 실기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
(4) 필기시험 면제 :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.
(5) 검정현황
① 필기시험
연도 | 응시 | 합격 |
---|---|---|
2021년 | 3,726 | 2,038 |
2020년 | 2,928 | 1,494 |
2019년 | 2,999 | 1,442 |
2018년 | 2,281 | 1,386 |
2017년 | 2,067 | 1,053 |
② 실기시험
연도 | 응시 | 합격 |
---|---|---|
2021년 | 3,006 | 714 |
2020년 | 2,101 | 1,217 |
2019년 | 2,232 | 985 |
2018년 | 1,771 | 1,039 |
2017년 | 2,656 | 726 |